지피지기백전불태 [知彼知己百戰不殆]
오늘날과 같이 처절한 생존 경쟁의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싸워 이겨야만하는 삶을 살아가는 지치고 곤한 현대인들에게 참으로 귀가 솔깃한 말이다.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으로, 상대편과 나의 약점과 강점을 충분히 알고 싸움에 임하면 이길 수 있다는 말로서 손자의 모공편에 나온다.
즉 적과 아군의 실정을 잘 비교 검토한 후 승산이 있을 때 싸운다면 백 번을 싸워도 결코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百戰不殆]는 말이며. 적의 실정을 모른 채 아군의 전력만 알고 싸운다면 승패의 확률은 반반이고 적의 실정은 물론 아군의 전력까지 모르고 싸운다면 싸울 때마다 반드시 패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다.
'손자'는 전국시대에 편찬된 병가(兵家)의 서적이기에 흔히 '손자병법'이라 부르며 여기에는 당연히 전쟁에 이기기 위한 전술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손자는 싸움터에서 군대의 세력을 의지하여 피로 물든 전투를 한 뒤에 적을 이기는 것은 전술가로서 하급이라고 말하며 싸우지 않고서 이기는 것을 목표와 이상으로 하는 전ダ甄?
즉 손자는 무모한 전쟁에 대한 경계를 이야기하였으며, 전쟁이 국가와 백성들에게 주는 막대한 손실과 함께 부득이하게 전쟁을 할 경우라도 되도록 빨리 끝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강조를 하였다.
따라서 적군에게 이기는 방법, 즉 여러 가지 승리의 방법응 기술하였는데 그 중 최선의 승리는 아군의 피해가 전혀 없는, 싸우지 않고 승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계략으로 적군의 전의(戰意)를 꺾어야 할 것을 지적하였다.
흔히 어리석은 우리들의 목표는 언제 어디서나 항상 이기기만을 바라며 무패(無敗)의 전적을 자랑으로 여기지만 손자는 결코 백전백승(百戰百勝)이라는 것을 상책으로 삼지 않았다.
백 번 싸워 백 번 이기는 것이 상책이 아니고 싸우지 않고서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는 것이 상중의 상책이라 하였다.
양방과 한방을 공부한 필자의 입장에서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을 비교할때 병법(兵法)을 이용하여 설명을 하는데 양방은 '공격이 최선의 방어'라는 관점에서 파고들어가 적의 심장부를 초토화 시키는 특공 타격 방법을 사용한다면 한방은 성(城)을 에워싸고 포위망을 압축해 들어가는 전략 방식의 치료를 하는것으로 설명할수 있다.
옛 의원(醫員)들의 신분이 중인 계급으로 병법(兵法)에 능한 사람들이 많이 있어 한의학적 치료법을 병법으로 비유한 경우가 많이 있었다.
또한 양방적인 치료법이 원인을 규명하기위하여 세포까지 들여다보고 분자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질병의 발병원인을 규명하고 그치료 방법 조차 통채로 바꾸어주는 지경에 이르기까지 발전하였다.
반면 한방의 경우에는 때로는 이해하기가 어렵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오장육부의 범주안에서 서로간에 음양의 조화와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서양의학이 피를 튀기는 방식을 즐겨 사용하고 피를 보는것을 통하여 놀라운 발전을 하여왔으므로 필자의 경우에도 산부인과의사 시절 매일 피범벅이 되며 피비린내가 끊이지 아니 하였으나 한방의 경우에는 손자병법의 내용과 같이 피를 묻히기 보다는 싸우지 않고 이기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양방의 경우 항상 피를 보는 응급 상황 가운데 언제든 발생할수 있는 의료사고로 인하여 의사들이 피가 마르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한방의 경우에는 '응급'을 넘긴 상황에서 환자를 보게 되므로 물에 물탄듯 술에 술탄듯 보이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피지기 백전불태'를 원하는 것이 인지 상정인지라 사람의 몸을 치료하겠다는 침술치료사들이라면 한의학적 공부는 물론 오늘날의 양방 의학적인 해부 생리 병리를 철저히 공부 하여야 할일이다.
한의학의 경우 뱃속을 들여다 볼 기회가 없다고 하여 장님이 코끼리 더듬으며 구렁이 담넘어 가듯 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환자들이 병원에서 검사한 혈액검사, X-Ray, 초음파검사를 분석하여 한방에 적용할 능력을 키워야 할 일이다.
이러한 능력을 갖출때 환자들이 더욱 믿고 맡길수 있는 침술치료사가 되는 것이고 양방의사들이 환자의 상태에 관하여 상의하고 의뢰하는 바람직한 관계가 되는 것이다.
知皮知己의 손자 병법은 오직 전쟁과 같은 싸움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치열한 생존 경쟁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유익한 삶의 지혜가 된다.
온갖 질병이 난무하는 세상에서 진단의 방법은 많으나 어찌 치료할 마땅한 방법이 없다고 판단되는 수많은 경우에 대안(代案)이 되는 대체의학이 한의학이며 그효용성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세상이 달라진점을 깨닫고 한의학과 함께 인체의 해부 생리 병리학을 철저히 공부하여 신뢰 받는 의사로서 환자를 치료해야 할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